맨위로가기

중구 (대구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는 1963년 대구시의 구제 실시로 설치되었으며, 12개의 행정동과 57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의 상업 중심지로서 약령시, 서문시장, 칠성시장 등이 위치하며, 동성로, 달성공원 등 관광 명소와 경북대학교 의·치의학전문대학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등 교육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1980년 최고 인구수를 기록한 이후 인구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중심 업무 지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대한민국의 중심 업무 지구 - 강남 (서울)
    강남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아울러 지칭하는 용어이며, 1970년대 이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과 함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하여 부와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대구광역시의 구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구 - 달서구
    달서구는 대구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하며 1988년 설치되어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성서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발전했고, 현재 23개 행정동과 두류공원, 대구수목원, 이월드 등의 문화·휴양 시설,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을 갖춘 교통의 요충지이다.
  •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 대봉동
    대봉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동으로, 1917년 봉덕동과 대명동의 일부가 대구부에 편입되면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한때 남구에 속했으나 현재는 중구에 속하며, 대구불교방송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 동성로 (대구)
    동성로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과거 대구읍성 성곽 자리에 조성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지나가고, 대구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중구 (대구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중구 (中區)
유형자치구
관할 지역대구
방언경상도
웹사이트중구청 웹사이트
지도 정보
대구 내 중구 위치
대구 내 중구 위치
일반 정보
면적7.06 km²
인구 (2024년 9월)94,808명
인구 밀도10696명/km²
행정
시장류규하
하위 행정 구역13개 행정동
상징구목: 느티나무
구화: 백일홍
구조: 백로
위치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광역 자치 단체대구광역시
일반 정보 (2021년 기준)
총 인구74,791명
세대38,370세대
정치
국회의원김기웅 (국민의힘, 대구 중구·남구)
구청 정보
구청 소재지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139길 1
대구광역시 중구청사
대구광역시 중구청사

2. 역사

1953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동인동1가 외 16개동)와 종로출장소(덕산동 외 37개동)가 설치되었다.[9]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부·종로출장소를 통합하여 '''중구'''가 설치되었으며(54법정동),[10]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를 중구에 편입하였다.(55법정동)[11]

1965년 2월 1일 동 행정구역 개편으로 13개 행정동(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남성동, 종로동, 북성동, 서성동, 대신동, 달성동)이 설치되었고,[12] 같은 해 2월 2일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이 확정되었다.[13] 1970년 7월 1일에는 봉산동이 봉산1동, 봉산2동으로 분동되었고,(14행정동)[14] 5월에는 달성공원에 종합문화관, 동물원 조성이 완료되었으며, 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10월, 구 경상감영 자리에 중앙공원(현 경상감영공원)이 조성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봉산1동과 봉산2동이 봉산동으로 합동되었고, 대신동이 대신1동, 대신2동으로 분동되었다.[15] 1980년 4월 1일에는 남구 남산동 일원(남산1동, 남산2동), 대봉동 일부(대봉1동, 대봉3동→대봉2동), 대명동 일부(대명4동→남산3동, 대명6동→남산4동)가 중구에 편입되었고,[16] 종로동이 폐지되어 동성동과 북성동에 분할되었다.[17] (19행정동 57법정동)

1981년 5월 16일 동인동2가 1번지(현 시청 주차장)에서 동인동2가 78번지(현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로 구청사가 이전되었으며,[18] 같은 해 7월 1일 '''대구직할시 중구'''로 승격하였다.[19]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되었고,[20] 1991년 4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로 구의회가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중구'''로 개칭되었다.

1998년 9월 14일 행정동 통폐합으로 동인1·2가동, 동인4가동은 동인1·2·4가동으로, 삼덕1·2가동, 삼덕3가동은 삼덕동으로, 봉산동, 동성동은 성내1동으로, 남성동, 북성동은 성내2동으로, 서성동, 달성동은 성내3동으로, 대신1동, 대신2동은 대신동으로 각각 합동되었다.[21] (13행정동) 1999년 6월 1일 동인동2가 177-4번지로 구청사를 이전하였고,[22] 2011년 7월 4일 동인1·2·4가동, 동인3가동이 동인동으로 합동되었다.[23] (12행정동)

중구의 상당 부분은 옛 대구읍성 경계 안에 있었으며, 성벽의 작은 부분은 달성공원에 보존되어 있다. 중구는 대구 지하철 화재와 1960년 독재적인 이승만 정권 종식을 요구하는 2·28 대구 민주운동을 포함하여 대구 역사상 많은 사건들이 발생한 곳이다.

2. 1. 구 설치 이전

1953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동인동1가 외 16개동)와 종로출장소(덕산동 외 37개동)가 설치되었다.[9]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부·종로출장소를 통합하여 '''중구'''로 승격하였다.[10]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를 중구에 편입하였다.[11]

1965년 2월 1일에는 행정동 개편으로 13개 행정동(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남성동, 종로동, 북성동, 서성동, 대신동, 달성동)이 설치되었다.[12] 같은 해 2월 2일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이 확정되었고,[13] 1970년 5월 달성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이 안치되었다.

1970년 7월 1일 봉산동이 봉산1동, 봉산2동으로 분동되었고,[14] 1970년 10월 구 경상감영 자리에 중앙공원(현 경상감영공원)이 조성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봉산1동과 봉산2동이 다시 봉산동으로 합동되었고, 대신동이 대신1동과 대신2동으로 분동되었다.[15]

1980년 4월 1일 남구 남산동 일원(남산1동, 남산2동), 대봉동 일부(대봉1동, 대봉3동), 대명동 일부(대명4동, 대명6동)가 중구에 편입되었고,[16] 종로동은 폐지되어 동성동과 북성동에 분할 편입되었다.[17]

중구의 상당 부분은 옛 대구읍성 경계 안에 있었으며, 성벽의 작은 부분은 달성공원에 보존되어 있다.

2. 2. 구 설치 이후

1953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동인동1가 외 16개동)와 종로출장소(덕산동 외 37개동)가 설치되었다.[9]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부·종로출장소를 통합하여 '''중구'''가 설치되었으며(54법정동),[10]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를 중구에 편입하였다.(55법정동)[11]

1965년 2월 1일 동 행정구역 개편으로 13개 행정동(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남성동, 종로동, 북성동, 서성동, 대신동, 달성동)이 설치되었고,[12] 같은 해 2월 2일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이 확정되었다.[13] 1970년 7월 1일에는 봉산동이 봉산1동, 봉산2동으로 분동되었고,(14행정동)[14] 5월에는 달성공원에 종합문화관, 동물원 조성이 완료되었으며, 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10월, 구 경상감영 자리에 중앙공원(현 경상감영공원)이 조성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봉산1동과 봉산2동이 봉산동으로 합동되었고, 대신동이 대신1동, 대신2동으로 분동되었다.[15] 1980년 4월 1일에는 남구 남산동 일원(남산1동, 남산2동), 대봉동 일부(대봉1동, 대봉3동→대봉2동), 대명동 일부(대명4동→남산3동, 대명6동→남산4동)가 중구에 편입되었고,[16] 종로동이 폐지되어 동성동과 북성동에 분할되었다.[17] (19행정동 57법정동)

1981년 5월 16일 동인동2가 1번지(현 시청 주차장)에서 동인동2가 78번지(현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로 구청사가 이전되었으며,[18] 같은 해 7월 1일 '''대구직할시 중구'''로 승격하였다.[19]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되었고,[20] 1991년 4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로 구의회가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중구'''로 개칭되었다.

1998년 9월 14일 행정동 통폐합으로 동인1·2가동, 동인4가동은 동인1·2·4가동으로, 삼덕1·2가동, 삼덕3가동은 삼덕동으로, 봉산동, 동성동은 성내1동으로, 남성동, 북성동은 성내2동으로, 서성동, 달성동은 성내3동으로, 대신1동, 대신2동은 대신동으로 각각 합동되었다.[21] (13행정동) 1999년 6월 1일 동인동2가 177-4번지로 구청사를 이전하였고,[22] 2011년 7월 4일 동인1·2·4가동, 동인3가동이 동인동으로 합동되었다.[23] (12행정동)

중구의 상당 부분은 옛 대구읍성 경계 안에 있었으며, 성벽의 작은 부분은 달성공원에 보존되어 있다. 중구는 대구 지하철 화재와 1960년 독재적인 이승만 정권 종식을 요구하는 2·28 대구 민주운동을 포함하여 대구 역사상 많은 사건들이 발생한 곳이다.

2. 3. 주요 사건

1953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동인동1가 외 16개동), 종로출장소(덕산동 외 37개동)를 설치하였다.[9]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부·종로출장소를 통합하여 '''중구'''로 승격하였다.[10]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를 중구에 편입하였다.[11]

1965년 2월 2일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을 확정하였다.[13]

1970년 5월 달성공원 종합문화관, 동물원 조성을 완료하고, 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을 안치하였다.

1970년 10월경상감영 자리에 중앙공원(현 경상감영공원)을 조성하였다.

1980년 4월 1일 남구 남산동 일원(남산1동, 남산2동), 대봉동 일부(대봉1동, 대봉3동→대봉2동), 대명동 일부(대명4동→남산3동, 대명6동→남산4동)를 편입하였다.[16]

1981년 5월 16일 동인동2가 1번지(현 시청 주차장)에서 동인동2가 78번지(현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로 구청사를 이전하였다.[18]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중구'''로 승격하였다.[19]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20]

1991년 4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로 구의회를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중구'''로 개칭하였다.

1999년 6월 1일 동인동2가 177-4번지로 구청사를 이전하였다.[22]

2011년 7월 4일 동인1·2·4가동, 동인3가동을 동인동으로 합동하였다.[23]

중구의 상당 부분은 한때 대구 전체를 아우르던 옛 대구읍성의 경계 안에 있었다. 성벽의 작은 부분은 달성공원에 보존되어 있다.

최근의 대구 지하철 화재와 1960년 독재적인 이승만 정권 종식을 요구하는 2·28 대구 민주운동을 포함하여 대구 역사상 많은 사건들이 이 구에서 발생했다.

3. 지리

중구는 분지 형상인 대구의 중앙 저지대에 도심이 형성되어 동편에 흐르는 신천을 경계로 동구, 수성구로 나뉘며 명덕로를 경계로 남구, 달성공원 서편 기슭과 비산동 동편을 경계로 서구, 달서구와 나뉘고, 대구역의 동서로 뻗은 경부선 선로를 따라 북구 칠성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구는 동·서·남·북·수성·달서구에 둘러싸인 대구광역시의 중심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24] 중구의 토지는 거의 완전히 개발되었으며, 녹지 공간은 16%만 남아 있다.

상덕동(상덕동/尙德洞hanja)은 법정동으로, 성내1동의 관할하에 있으며, 면적이 2,971m2(0.003km2)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좁은 법정동이다.[2]

중구의 인구는 외곽의 주거 지역이 확장되고 주거지가 상업 시설로 대체되면서 1980년 218,90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꾸준히 감소했다. 2000년대 중반에 이 추세가 안정되는 듯 보였으며, 2005년 인구는 2004년보다 약간 증가했다.

4. 행정 구역

2020년 12월 31일 기준 통계치는 다음과 같다.[25]

대구 중구 행정동별 인구 현황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동인동東仁洞0.995,0618,525
삼덕동三德洞0.644,1016,736
성내1동城內1洞0.903,4234,675
성내2동城內2洞0.762,9254,591
성내3동城內3洞0.792,5435,158
대신동大新洞0.523,3878,094
남산1동南山1洞0.392,8385,097
남산2동南山2洞0.382,2364,323
남산3동南山3洞0.403,0747,041
남산4동南山4洞0.454,90611,859
대봉1동大鳳1洞0.593,3667,654
대봉2동大鳳2洞0.251,2512,394
중구中區7.0639,11176,547



대구 중구 행정 구역도


대구광역시 중구는 12개 행정동, 57개 법정동으로 구성된다.

행정동법정동
동인동동인동1가, 동인동2가, 동인동3가, 동인동4가
삼덕동삼덕동1가, 삼덕동2가, 삼덕동3가
성내1동봉산동, 덕산동, 사일동, 남일동, 동성로3가, 동문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2가, 태평로1가, 교동,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포정동, 동성로1가, 북성로1가, 화전동
성내2동장관동, 상서동, 수동, 덕산동, 종로1가, 종로2가, 동1동, 남일동, 전동, 동성로3가, 수창동, 태평로3가, 서성로1가, 하서동, 남성로, 계산동1가, 계산동2가, 계산동, 동산동, 서성로2가, 포정동, 서문로1가, 서내동, 북성로2가, 대안동, 태평로2가, 북성로1가, 화전동, 향촌동, 북내동
성내3동도원동, 수창동, 태평로3가, 인교동, 서야동, 서성로1가, 시장북로, 동산동, 서문로2가, 달성동
대신동시장북로, 대신동
남산1동남산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봉1동대봉동
대봉2동


4. 1.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

2020년 12월 31일 기준 통계치는 다음과 같다.[25]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동인동東仁洞0.995,0618,525
삼덕동三德洞0.644,1016,736
성내1동城內1洞0.903,4234,675
성내2동城內2洞0.762,9254,591
성내3동城內3洞0.792,5435,158
대신동大新洞0.523,3878,094
남산1동南山1洞0.392,8385,097
남산2동南山2洞0.382,2364,323
남산3동南山3洞0.403,0747,041
남산4동南山4洞0.454,90611,859
대봉1동大鳳1洞0.593,3667,654
대봉2동大鳳2洞0.251,2512,394
중구中區7.0639,11176,547



대구광역시 중구는 12개 행정동, 57개 법정동으로 구성된다.

행정동법정동
동인동동인동1가, 동인동2가, 동인동3가, 동인동4가
삼덕동삼덕동1가, 삼덕동2가, 삼덕동3가
성내1동봉산동, 덕산동, 사일동, 남일동, 동성로3가, 동문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2가, 태평로1가, 교동,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포정동, 동성로1가, 북성로1가, 화전동
성내2동장관동, 상서동, 수동, 덕산동, 종로1가, 종로2가, 동1동, 남일동, 전동, 동성로3가, 수창동, 태평로3가, 서성로1가, 하서동, 남성로, 계산동1가, 계산동2가, 계산동, 동산동, 서성로2가, 포정동, 서문로1가, 서내동, 북성로2가, 대안동, 태평로2가, 북성로1가, 화전동, 향촌동, 북내동
성내3동도원동, 수창동, 태평로3가, 인교동, 서야동, 서성로1가, 시장북로, 동산동, 서문로2가, 달성동
대신동시장북로, 대신동
남산1동남산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봉1동대봉동
대봉2동


5. 인구

1980년 219,528명으로 최고 인구를 기록한 이래[27], 중구의 인구는 외곽 지역의 주거 지역 확장과 기존 주거 시설의 상업 시설 대체로 인해 꾸준히 감소하였다.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 이러한 추세는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5년에는 인구가 소폭 증가하기도 하였다. 중구의 토지는 거의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녹지 공간은 16% 정도 남아있다.

법정동인 상덕동(상덕동/尙德洞한국어)은 행정동 성내1동에 속하며, 면적이 2,971m2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좁은 법정동이다.[2]

다음은 중구(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26]

연도총인구비고
1966년163,298명
1970년148,667명
1973년144,233명
1976년137,524명
1979년130,724명
1982년210,306명
1985년189,366명
1988년169,455명
1991년151,421명
1994년127,590명
1997년107,358명
2000년95,381명
2003년86,577명
2006년79,830명
2009년79,046명
2012년76,496명
2013년75,362명
2014년76,053명
2015년78,843명
2016년81,108명
2017년79,626명
2018년79,148명
2019년79,192명
2020년77,282명


6. 정치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현재 대구 중구청이 위치해 있다.

6. 1. 역대 구청장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현재 대구 중구청이 위치해 있다.

7. 경제

중구는 기록상 대구의 주요 상업 중심지였으며, 약령시와 서문시장이 그 시작으로, 두 시장 모두 현재도 운영 중이다. 철물과 가구 판매의 주요 중심지인 칠성시장 또한 중구에 위치해 있다. 대구 시내의 대부분의 백화점들이 중구 또는 그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수많은 소규모 상점들도 마찬가지이다. 대봉도서관은 이곳에 위치해 있었다. 1971년 5월 5일에 개관하여 2011년 기준 162,929권의 도서와 931종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2018년 9월 30일에 운영이 종료되었고, 2018년 12월 19일 동구로 이전하여 2.28 민주운동 기념 대구광역시립기념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8. 명소

달성공원(대구 달성), 동성로, 동인동 갈비찜 골목, 대구교동시장, 대구 약령시, 서문시장, 봉산문화거리가 있다.

대구 약령시, 인교동 산업공구 골목, 북성로 오토바이 골목, 남산동 인쇄골목, 인교동 돼지 골목, 향촌동 구두골목, 동인동 찜갈비 골목, 동성로, 달성공원, 서문시장 등이 있다.

9. 교육

경북대학교 의학·치의학전문대학원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계명대학교 의과대학이 중구에 있다. 경북대학교 동인동 캠퍼스가 있다.

대구광역시 중구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학교가 있다.



경북대학교 동인동 캠퍼스(국립)와 대구가톨릭대학교도 중구에 위치한다.

9. 1. 대학교

경북대학교 의학·치의학전문대학원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계명대학교 의과대학이 중구에 있다. 경북대학교 동인동 캠퍼스가 있다.

9. 2. 고등학교

대구광역시 중구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학교가 있다.

경북대학교 동인동 캠퍼스(국립)와 대구가톨릭대학교도 중구에 위치한다.

10. 교통

10. 1.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부선 대구역이 북구와의 경계에 있다.

대구교통공사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명덕역, 반월당역, 중앙로역을 지난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청라언덕역, 반월당역, 경대병원역을 지난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 남산역,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을 지난다. 건들바위역대봉교역은 남구와의 경계에 있다.

11. 자매 도시

지역 & 국가도시
25px
경상북도
25px
청도군
25px
광주광역시
25px
동구
25px
충청북도
25px
제천시
산둥성(山东省)웨이하이시(威海市) 환취구(环翠区)
허베이성바오딩시(保定市)
안궈시(安国市)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Photo Story] If you walk 100 steps, the neighborhood ends... 'Sangdeok-dong, Jung-gu, Daegu', the smallest legal-status dong in South Korea https://www.yeongnam[...] The Yeongnam Ilbo 2021-10-14
[3] 웹사이트 Daegu Municipal Library website http://www.dblib.dae[...]
[4] 웹사이트 Greetings https://library.daeg[...] Daegu Metropolitan Memorial Library for 2.28 Students' Movement 2023-07-15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문서 1947년 4월 1일 일본식 동명을 정리할 때, 감영이 있던 자리여서 포정동으로 명명하였다.
[9] 조례 대구시 조례 제26호
[10] 법률 법률 제1174호 1962-11-21
[11] 법률 법률 제1641호 1964-06-01
[12] 조례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01-27
[13] 고시 건설부 고시 제1387호
[14] 조례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07-01
[15] 조례 대구시 조례 제919호 1975-10-01
[16]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9630호 1979-09-26
[17] 조례 대구시 조례 제1244호 1979-03-18
[18] 조례 대구시 조례 제1346호 1981-05-04
[19] 법률 법률 제3424호 1981-04-13
[20] 법률 법률 제4004호 1988-04-06
[21] 조례 중구 조례 제432호 1998-08-31
[22] 조례 중구 조례 제459호 1999-06-01
[23] 조례 중구 조례 제827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11-05-30
[24] 웹사이트 중구의 지리적 특성 http://gu.jung.daegu[...] 2012-09-03
[25] 웹사이트 중구 2020년 통계연보 https://www.jung.dae[...] 2021-06-07
[26] 통계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7] 문서 남구 (대구광역시)|남구남산동 전역, 대봉동, 대명동 일부 편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